1) 부동산학에 관한 옳은 설명은? 틀린 것은?
- 부동산학은 부동산활동의 능률화와 그 응용기술을 개척하는 종합응용과학이다.
- 부동산학은 응용과학에 속한다. (과학:순수과학/응용과학으로 구분)
- 부동산학의 연구대상은 부동산 활동 및 부동산 현상을 포함한다.
부동산 활동: 인간의 주체적인 행위로 나타나는 것.
부동산 현상: 부동산 활동의 결과. 정적 법칙성
- 부동산학의 접근방법 중 종합 접근방법은 부동산을 법률적, 경제적, 기술적 측면 등의 복합개념으로 이해하여, 이를 종합해서 이론을 구축하는 방법이다.
- 부동산학은 다양한 학문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종합학문적 성격을 지닌다.
- 부동산학이 추구하는 가치를 민간부문에 한정하여 볼 때 형평성보다는 효율성이 중시된다.
(공공부문에서는 형평성을 추구한다.)
- 부동산학의 이념은 부동산학이 추구하는 가치 또는 방향으로 사적부문은 효율성, 공정부문은 형평성과 관련 있다.
- 효율적 관리는 경제적 측면의 지도이념이다.
(법경기 가운데 ‘경’에 해당하는 것)
- 부동산학의 능률성의 원칙은 최유효이용을 지도원리로 한다.
최소비용, 최대효과: 최유효이용. 안전성의 원칙이 아니다.
n 부동산학의 경제성의 원칙은 기회비용을 고려한 합리적 선택의 문제와 관련이 깊다.
n 안전성의 원칙은 거래사고와 관련하여 중시되며, 복합개념에 기초하여 접근하는 게 좋다.
안정성을 너무 강조하면 능률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.
n 복합개념의 부동산이란? : 부동산을 법,경,기 개념으로 판단, 체계화한 것
법률적, 경제적 개념 – 무형
기술적 개념 – 유형, 물리적인 것이다.
* 복합부동산: 부동산활동 상의 개념(토지+건물+정착물, 복합건물-주상복합건물 등 한 건물을 여러용도로 활용하는 것)
n 부동산학의 이념 중 효율성과 형평성은 상충관계에 있으므로 합법성의 원리를 통해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.
n 부동산학의 의사결정적 접근방법은 기본적으로 인간은 합리적 존재이며, 자기이윤 극대화를 목표로 행동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.
n 부동산학의 연구대상인 부동산활동은 인간이 부동산을 대상으로 전개하는 여러가지 관리적 측면의 행위를 의미한다. (
부동산현상이 아님)
댓글